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타파라이스 _ 만들어

타파스같은 한식을 만들어 보는 것

관광객을 위한 시스템 사람들은 즐겁게 다양한 음식을 먹고 마실 수 있다. 


한국의 다양한 음식을 맛보고 싶어 

타파라이스로 가 



배경

외국인들은 한국음식을 먹을때 반찬과 국 그리고 밥 등을 따로 먹는다 

코스요리처럼 먹는다. 순서가 있지도 않은 요리를 순서를 지키면서-그들만의 순서이다. 누가 가르쳐줄 수가 없다- 먹는다. 

무척 정성을 다해서 먹는다. 

왜 한식이니까 처음 먹는 가람도 있을 것이다. 


우리가 보면 정말 이상해 보이지만 


그렇게 먹는 외국인이 많다 


그러다보니 한식은 엄청 짜고 맵거나 싱거울 수 있다.  

사실 한식은 입안에서 한번 더 요리하는 형식인데 이해하기 어렵다   

나도 사실은 이렇게 써놓고 맞는지 검증을 해보지는 않았다. 


그래서 

이러한 현식을 깨고 서양의 것과 겹쳐서 만들어 보는 것은 아주 재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작은 밥그릇반찬을 올리는 형식을 만들어 보는 것이다. 

타파스처럼 어때? 


한식은 반찬이 많고 맛있다  

그것을 한 가지씩 밥과 함께 맛보는 것은 정말 기분 좋은 경험이 될 것이다. 



이러한 식당은 한식을 골고루 먹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식당은 종로에서 부터 출발 


메뉴는 다양하게 이미지를 잘 넣어서 만들어보기 


불고기, 갈비, 삼색나물, 닭볽음, 양념치킨, 잡채, 장조림, 강된장, 삼겹살, 돼지 두루치기, 두부조림, 오징어볶음 그리고 김치 뭐든지 올리기만 하면된다. 


한 그릇에 5000원부터 2,000원까지 다양한 맛을 즐겨보세요 


계속해서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이 힘들 수 있는데 


예전 스페인에 가보니 어떤 큰 요리가 나오면 그것에 대한 알람을 주고 그것을 모든 사람들이 주문을 해서 먹는 방식으로 진행하니까. 따뜻한 것을 먹을 수 있기도 했으면 바로 만든 밥을 먹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식당은 좀 커야하고 왜국인을 상대로 장사를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나중에 잘되면 세계로 진출한다. 


시스템을 잘 갖춰야한다. 


기본적인 반찬을 만드는 회사와 협업이 중요함 

기본 밑반찬 만드는 회사 

김치를 만드는 전무회사는 

꼭있어야하고 


식당에는 주로 메인 요리 쉐프가 있어야하지 



그럼 만들어봐 



중요한 점

고급스럽지 않아야 한다. _ 우리가 먹는 한식은 고급스러운 것이 이니다. 

비싸게 만들지 마라 _ 너무 좋은 재료 귀한 재료를 이용해 비싸게 만들지 말아라

깨끗하게 _ 개인이 개인 밥을 먹을 수 있고 나누어 먹지 않아도 되도록 (이제 우리나라 사람도 싫어한다.)

맛은 기본아닌가? _ 맛이 없는 음식점은 없어져야한다. 

그릇이 많이 나오니 빠른 세척과 준비가 필요해 _ 아마 엄청나게 나올거야 

주문이 쉽게 만들어 보자 _ 정말 중요해 

밑반찬과 김치가 중요해 _ 저렴한 타파라이스는 밑받찬과 김치겠지 밑반찬과 김치를 잘 만드는 가게 또는 회사가 꼭 필요해  이것은 그냥 퍼서 담으면 그만이니까. 따뜻하지 않은 음식이니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이끼001

 이끼 키우기  이끼는 키우기 쉬울 수는 있지만 느리게 자람 조건도 맞아야함 4-6개월 정도 키우기 위한서는 자동 시스템이 필요.  이끼는 빛이 많이 필요하지 않으며 수분 또한 공급이 수월한 편이다.  이끼는 뿌리가 없고 잎 과 줄기 자체에서 수분과 양분을 흡수한다   이끼는 원시적인 식물이다.  어려운 환경 즉 육지에 아무것도 살지 않던 시대에 육지로 올라온 식물이다. 산성에 강하며 환경 적응력도 뛰어나다, 

공유자동차

자동차는 정말 원하는 사람을 빼고는 공유자동차를 이용 주차비는 비싸다 자동차를 소유하려면 주차비를 감당 주차장은  공유자동차가 주로 이용  다양한 차종 준비되어 있음 _ 트럭, SUV, 세단, 소형버스 등 차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예약이 필수  그날 바로 대여가 가능하나 원하는 차를 얻지 못할 가능성 또는 기다림 예약시스템 - 모바일로 예약과 지불이 가능하며 모든 차는 전기차임 - 기본적인 자율주행이 가능 - 주차는 자동 백업 시스템 자동 충전 시스템 구축  -  사람 원하는 곳에서 내리면 됨 1.  자동차는 공유자동차를 이용함 2. 개인소유의 차를 보유도 가능함 주차비가 비쌈 3. 모바일 예약이 기본이고 지불도 모바일로 이루어짐 4. 자율주행  전기차 사실 자동차를 타고 나갈 일이 많지 않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 건물이기도 함 공유자동차 편해지는 점은 서로 공유한다는 것이지만 그것은 다른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골프장비를 차에 두고 그냥 다니고 싶지만 그렇게 할 수 없다 쉐어링은 자기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기 물건을 놔둘 수 없다 다른 것도 쉐어링이 되면 좋을 것 같은데 그러면 세상이 재미없어질 수 있다.  내것을 가지고 싶은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생각도 공간과 구조가 변하면 바뀔 수 있다. 예전 500년 전에는 노예가 당연했고 사람으로 생각하지도 않았더 시기에도 살기 좋아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생활의 구조는 계속해서 변하는 법이다. 자 다시 공유자동차의 발전은 모바일 예약시스템, 어느정도 이루어진 자율주행, 전기차에 의해서 발전할 것이다. 이것은 어떤 차를 몰던 사고의 위험이 적어진다는 것이여 그로 인해서 내차가 이나더라도 비교적 쉽게 차를 몰 수 있을 것이며 운전이 미숙한 사람도 편안하게 차를 몰고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자동차를 모는 것이 어떤 기술이 아닌 세상이 오는 것이다. ...

숲과 길 그리고 안내

 숲과 길 그리고 안내   우리는 다양한 길을 숲에서 접한다 . 예전에는 어느 산 등산로 또는 지명을 딴 등산로 또는 길로 불리던 길이었다 . 요즘은 이 길에 다양한 이름을 붙이고 그 길에 대한 설명 유래 그리고 방향을 안내한다 . 원래 있던 등산로 또는 길을 연결하고 그 길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면서 우리는 누구나 알 수 있는 길의 이름을 모두들 같지는 않지만 비슷한 의미로 인지하게 되었다 . 지리산둘레길 , 서울둘레길 , 대전둘레산길 등 다양한 숲길이 만들어지고 국가에서 인증을 받고 있다 . 이 길들은 예전에 있던 길을 연결하고 그 길에 의미와 이름을 부여한 대표적인 사례일 것이다 . 새로 의미를 부여하고 싶은 길에는 방향안내판 , 자연해설판 , 구역안내판 , 종합안내판 , 계도안내판 등 다양한 인내시설이 들어간다 . 이러한 안내판에는 새로만들어진 길의 이름과 만든 사람 마크 관리주체 등이 공통으로 들어간다 . 사람들은 이런 안내시설을 보면서 길에 대하여 알게되고 앞으로 진행할 계획을 세우기도 한다 . 그리고 탐방객은 다양하게 불리던 길의 이름을 통일해서 부르게 되며 서로 공유한다 . 하나의 숲길이 완성되어가는 과정이다 . 현재 우리가 모두들 지리산둘레길 코스를 막연하지만 인지하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 숲과 길에 있는 안내판이 ‘ 요즘 같은 초고속통신 , 모바일 그리고 디지털 시대에 필요할까 ’ 라는 생각을 가지는 사람이 있다 . 물론 여러 지도 안내 맵으로 기을 찾기는 쉽다 특히 작은 등산로도 안내해 주기도 한다 , 이렇게 모바일로 다 안내해 준다면 방향안내판도 , 해설판도 그리고 종합안내판도 거의 필요없을 지도 모른다 . 그렇다 모바일 지도만 잘 따라가면 안내판은 필요 없을지도 모른다 . 그렇지만 우리가 산 그리고 숲에 들어와서 모바일 폰만 보면서 갈 수는 없지 않은가 ? 모바일 폰을 보면서 길을 찾는 것은 도심지에서도 충분히 하고 있으며 그러한 행동은 실수가 없고 정확하고 효율적이기만 하다 . 우리가 숲에 들어설 때 효율적으로 ...